여러 청년 정책들이 있겠지만 저 같은 경우는 우선적으로 알아보는 것 중에 청년 저축을 알아보는 편입니다. 목돈을 만들기도 좋고 , 이자도 쌔기 때문에 굳이 은행에 들러 이런저런 얘기를 듣는 것보다야 훨씬 좋다고 생각하는데요. 아무래도 사회 초년생이 목돈을 모으기도 힘들도 저축하는 방법을 잘 모르다 보니 이런 혜택과 기회가 있다면 무조건 가입하는 것을 권유드리는 바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2022 청년희망적금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느 면이 좋은 어떻게 신청하며 되며 신청하기 전 챙겨야 할 것들을 같이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2022 청년희망적금이란 무엇인가요?
청년들의 안정적인 자산을 관리하기 위해서 금융위에서 발표한 87개의 과제 중 청년희망적금이 있습니다. 이는 저축을 장려하는 뜻에서 정해진 기간 동안 저축을 하게 되면 장려금 + 이자를 같이 지급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데요. 시중 금리가 많이 낮은 편이라 정책에 해당된다면 신청하는 것이 좋겠죠?
● 청년희망적금 이자 및 지원 내용
납입기간은 2년으로 최초 1년간 납입을 완료하면 2% 장려금을 지원합니다. 이후 2년 만기까지 납입을 완료하면 4%의 추가 장려금을 지급하게 되는데 월 납입금 최대한도는 50만 원으로 , 50마원씩 2년을 납입하면 총 1200만원에 36만원을 장려금으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시중은행에서 제공하는 이자는 플러스로 받아갈 수 있습니다.
납입기간 : 2년
납입금액 : 최대 50만원
장려금 : 1년 차 : 2% / 2년 차 4%
● 청년희망적금 지원 대상
청년희망적금의 경우는 나이 및 소득에 제한이 있습니다. 당연한 거겠지만 만 19세 ~ 34세의 청년이 되겠으며 군 복무를 마쳤다면 그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인정되므로 나이가 걸리더라도 복무기간을 꼭 따져보아야겠습니다.
소득의 경우는 직장인 총 급여 3600만 원 미만, 종합소득세 기준 26만 원 미만의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중 연봉에서 비과세 급여는 제외되며 비과세 급여의 경우는 식대와 같은 금액을 말합니다.
주의해야 할 점으로는 주식투자와 같은 투자 소득의 경우 배당소득세 연 1000만 원을 넘게 되면 종합소득세로 포함되기 때문에 이점은 미리 체크해봐야 하며, 총급여 요건을 맞추었다 하더라도 종합소득세 요건에 맞지 않으면 신청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신청방법에 경우는 아직 정확하게 나와 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제 곧 다가올 2022년 2월 21일에 신청할 수 있도록 안내할 예정이며, 현재 시중은행에서 금리 및 조건을 공개하고 있으니 검색을 통해서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궁금한 내용의 경우 금융위원회 ( 02-2100-2500 )로 문의하시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고 , 시중은행에서 적금 상품으로 내놓을 예정이니 방문 및 해당 어플을 통해서 신청하실 수 있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