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택청약저축 언제 가입하는 게 가장 좋을까?

by 넥스트 레벨 2023. 3. 16.
반응형

내 집 마련의 꿈을 가지고 있으신 분들은 아무리 생활이 어려워도 주택청약저축 무조건 해지하지 않고 가지고 계실 텐데요. 이번 시간에는 주택청약저축을 언제 가입해서 어떤 금액으로 납입해야 가장 효율적일까라는 주제로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아무래도 주택청약의 경우 가입기간이 길수록 좋다, 넣는 금액이 클수록 좋다고 많이 알고 계실텐데요. 그래서 금액을 무리하게 넣으시다가 또는 길게 가지고 있는데 효율이 없어서 해지하는 분들도 많이 있으실 겁니다. 그도 그럴 것이 청약 저축의 경우 내가 소득이 없더라도 부모님이 먼저 만들어 주셔서 대신 납부를 해주는 경우도 많이 보았기 때문에 부모님 세대에서 중요성을 더욱 느끼고 계셨던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언제 시작을 하면서 어떻게 납부를 해야 가장 효율적일까 라는 주제로 돌아와서 먼저 주택청약 저축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청약저축 정확히 뭔가요?

     ○ 집을 사기 위한 필수 요소

예를 들어 집을 사기위해서 돈을 조금씩 모은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면 일반 직장인 월급으로 몇억 원씩 하는 집을 사려면 몇 년이 걸릴까요? 개인 생활비에 저축에 사용하다 보면 어쩌면 서울에 집을 사는 건 포기하고 살아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청약저축의 경우는 이미 지어진 아파트가 아닌 새로 지어지는 아파트를 청약통장을 가지고 있다면 미리 신청해서 시세보다 낮은 가격으로 입찰을 받을 수 있기때문에 그 꿈이 이뤄질 수도 있는 건데요.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예전에는 주택 부금, 청약 예금, 청약 저축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어떤 걸 어떻게 가입해야 할지 헷갈려하셨던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지금은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합쳐져서 우리가 부르는 청약저축이란 이를 말합니다.

 

 

주택청약 언제 가입할까요?

     ○ 인정해주는 기간과 금액을 보자

우선 어릴적 우리들 부모님이 청약저축은 미리 가입해야 한다며 은행에 손잡고 가서 가입했던 기억이 있으실 텐데요. 집을 사기 힘들다 보니 부모님이 미리미리 챙겨주셨던 겁니다. 그러면 주택청약저축의 인정 기간은 어느 정도일까요? 그건 인정해 주는 기간과 금액을 알고 나면 정답이 보입니다.

반응형

 

 

 

     ○ 납입회차, 가입기간, 1회 납부 금액

납입 회차의 경우 미성년자의 경우 최대 24회차까지만 인정을 해줍니다. 우리가 아는 미성년자는 만 19세가 미성년자이기 때문에 17세부터 가입하는 것이 납입 기간을 전부 인정받을 수 있겠습니다.

 

가입 기간의 경우 길면 길수록 좋다는 말이 나온 이유는 최대15년까지만 인정을 해주기 때문에 15년이라면 매우 긴 시간이고 그 기간을 다 채우기 힘들 다보미 무작정 길게 가입하는 것이 좋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마지막으로 1회 납부금액의 경우 최소 2만원부터 최대 50만 원까지 납부를 할 수 있는데 가입만 해둬라 라며 2만 원씩 납부를 하는 분들이 있는 반면에 한 달에 10만 원은 납부해야지 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유는 매월 1회 납부되는 금액을 인정해 주는 건 10만 원까지입니다. 그래서 10만 원을 맞춰야 한다라고들 하는 겁니다. 물론 저축을 위해서 또는 소득공제를 위해서 금액을 올리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무리하게 넣다가 해지를 하게 되면 그동안에 노력이 무산될 수 있으니 무리하지 마시고 혹시나 금액이 부족한 분들은 필요할 때 일시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인이 넣을 수 있는 금액만큼 하는 것이 옳겠습니다.

 

 

 

주택청약저축 필수 조건

주택청약저축 결론과 정리

     ○ 만 17세, 24회 차, 15년, 10만 원

가장 베스트로 노력을 적게 하면서도 최대로 인정받을 수 있는 건 만 17세부터 가입을 시작해 매월 10만 원씩 납부를 하며 15년 동안 유지를 하는 것이 베스트가 되겠네요. 주택 정약저축의 경우 저축보다는 내 집마련을 위해서 돈을 모은다 생각하면 매월 10만 원은 어떻게든 할 수 있는 금액이니 꼭 유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